도영스 공간
MarkUp(마크업) 본문
MarkUp(마크업)
웹페이지에서 여러가지 요소들에 디자인 스타일을 정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구현하기 위해
의미를 부여
- 시멘틱 마크업: 의미부여(웹접근성 강화)
-레이아웃 요소 추가
header
footer
nav id=mainmenu
section id=visual
article 실제내용들어가는 본문
ad 그냥 광고
aside -탑버튼/ 빠른메뉴 등등
—————————————————————————————————————————————————————————————
[인라인태그/블럭태그]
-인라인 태그: a / span / img / input
-블럭 태그: 나머지 전부
—————————————————————————————————————————————————————————————
[컨텐츠 요소 / 레이아웃 요소]
-컨텐츠 요소
:img / p / table / ul / li / dl / form
-레이아웃 요소
:div / section / nav / aside / article / header / footer
—————————————————————————————————————————————————————————————
마크업 요소 유효범위
- 인라인 요소는 블럭요소 안에 넣어라 (오류는 아니지만, 스타일 잡기가 힘들다.)
A < span < p < ul / li = table = dl = form < section = nav = header = footer =div
- 하나의 컨텐츠를 설명하기 좋다. Dl dt(제목) dd(내용)
- Section (실제로 의미를 담고있는 태그) / div (배치를 위한 의미없는 태그) section 안에 section써도 됨.
- Main 태그는 모바일에서만 사용.
- 블럭요소는 기본으로 부모요소에 100퍼센트 찬다. 요소 하나 하나를 감싸려고 하지 말기.
- 배치는 외우기 ( float / margin / position ) padding 은 안쪽 여백이지 배치가 아니다.
- Float : 다음 요소와의 배치 1번 2번 요소는 float 쓰고 3번 요소는 clear:both로 떨어지고, 나부터 다시 배치하겠다.
- margin은 위 아래 여백 줄 때
- Position: relative =>그냥 자기 위치 / 살짝 엇갈려 있을 때, 자유로운 배치는 포지션 absolute =>위에서 떠다니는 아이.. 정확한 영역 없음. 그래서 다음단이 그 영역을 차지하게 되어버림.
—————————————————————————————————————————————————————————————
웹 접근성
<a href=“링크” target=“_blank” title=“네이버새창으로바로가기”></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