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영스 공간
[항해99 11일차] 2022.03.17 TIL 본문
어제 항해톡이라고 REST API와 HTTPS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여서 나는 REST API 발표를 들었다.
개발자 .. 알아야될 게 많구나 ㅠㅠ
REST API는 백엔드와 관련된 언어라고 하는데 ..
나중에 백엔드 개발자와 소통할 때 위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한다. !!
그리고 나중에 배포할 때 HTTP가 아닌 HTTPS로 배포를 해야된다고 한다.
HTTP는 암호화가 안되어서 ID와 PW가 다 보인다고 한다. 한마디로 보안에 약하다는 말.
HTTPS는 다 암호화 되어서 보이고, 암호에 대한 KEY를 중간에 탈취하더라도 못 연다고 한다.
< 내가 다시 정리해보는 REST API 😊>
REST 란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 Ex) 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등
자원의 표현: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Ex)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
REST의 구체적인 개념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CRUD Operation
Create : 생성(POST)
Read : 조회(GET)
Update : 수정(PUT)
Delete : 삭제(DELETE)
HEAD: header 정보 조회(HEAD)
REST의 특징
- Server-Client(서버-클라이언트 구조)
- Stateless(무상태)
- Cacheable(캐시 처리 가능)
- Layered System(계층화)
- Uniform Interface(인터페이스 일관성)
RESPT API란 REST의 원리를 따르는 API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REST API를 올바르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지켜야 하는 몇가지 규칙이 있으며 해당 규칙을 알아 보겠습니다.
REST API 설계 예시
1. URI는 동사보다는 명사를,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마지막에 슬래시 (/)를 포함하지 않는다.
3. 언더바(_) 대신 하이폰(-)을 사용한다.
4. 파일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5. 행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오늘 할 일🙂]
9시 -10시 : 1번부터 10번까지 알고리즘 문제 다시 풀어보기
10시 - 10시 30분 : CS스터디
10시 30분 - 12시 : 10번부터 20번까지 알고리즘 문제 다시 풀어보기
12시 - 1시 : 점심시간
1시 - 4시 : 20번부터 28번까지 알고리즘 문제 다시 풀어보기
4시 - 7시 : 알고리즘 테스트
7시 - 8시 : 저녁 및 씻기
8시 - 9시 : 정리하기
11번인가 12번까지 풀다가 마음을 바꾸었다.
그냥 새로운 문제를 풀어가는거다....새로운 마음으로 ㅠㅠ.
그런데 새로운 문제들은 이해가 가지 않는 현상이 발생 !!
나만 이런걸까 ....?
오늘은 무사히 테스트를 보고 내일 있을 주특기를 위해 !
미리 유튜브로 자바스크립트를 공부를 해야겠다.
head + async보다는
head + defer을 사용
자바스크립트 굉장히 유연한 언어 => 위험한 언어일 수도 있음. 즉 많은 실수를 할 수 있다.
'use strict'를 자바스크립트 맨 위에 선언해주면서 strict모드를 이용하면 실수를 잘 잡아준다.
실행하는데 있어서 성능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var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hoistion : 어디에 선언했느냐에 상관없이 제일 위로 끌어올려주는 것.
no block scope :블럭을 이용해서 변수를 선언해도 어디에서나 아무곳에서나 변수를 선언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constants : 변수를 선언하면 값이 절대 변경되지 않음
장점:
- security
-thread safety
-reduce human mistakes
오늘은 여기까지 ~!
이제 코드 책이나 읽으러 가야겠다.
'TIL > 2022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17일차] 2022.03.23 TIL (0) | 2022.03.23 |
---|---|
[항해99 16일차] 2022.03.22 TIL (0) | 2022.03.22 |
[항해99 15일차] 2022.03.21 TIL (0) | 2022.03.21 |
[항해99 13일차] 2022.03.19 TIL (0) | 2022.03.19 |
[항해99 12일차] 2022.03.18 TIL (0) | 2022.03.18 |